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8

BBS와 PC통신 인터넷은 국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연구자들의 네트워크와 각 대학의 학술 목적을 공유를 위하여 확산되었다. 그런데 일부 일반인들이 대학의 계정을 얻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에 참여한 영리 기업들에 의해 전화 접속을 이용한 서버를 호스팅 하는 서비스들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PC 보급이 늘어나자 과거에는 대학과 연구소에서나 볼 수 있었던 컴퓨터를 집에 갖추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다. PC의 보급은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 등의 업무용 소프트웨어, 베이식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 그리고 PC게임 등의 활성화와 같이 초기에는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활용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전화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모뎀이라는 주변기기가 개발되고 그 가격 또한 저렴해지자.. 2020. 5. 24.
로컬 네트워크 로버트 멧칼프는 '로컬 네트워크의 아버지'라고 한다. 멧칼프는 1946년 뉴욕 브루클린 출신으로 MIT에서 전자공학과 경영학을 전공하였다. 그는 하버드대학에서 응용수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컴퓨터과학으로 박사학위 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MIT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그 일자리가 바로 아파 넷 프로젝트에서 MIT에 의뢰한 하드웨어를 만드는 것이었다. 1972년 아파 넷 콘퍼런스에서 그는 아파 넷을 이용한 19가지 시나리오를 담은 팸플릿을 공개하고 데모를 하였다. 이때 AT&T에서 온 열 명의 전문가들 앞에서 기술과 시나리오를 실제로 시연하였는데, 팸플릿에 적은 것처럼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그만 시스템이 죽었다. 당시 기술은 완벽하지 않았고, 데모 프로그램에도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멧칼프에 따르면 이때.. 2020. 5. 23.
TCP/IP 프로토콜 인터넷은 독립적인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들을 엮어내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인터넷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아파 넷은 이를 위해서 기존의 전화망 이외에 위성을 이용한 통신망이나, 지상의 무선 네트워크 등도 포관해야 했다. 이 때문에 당시 대세를 이루던 전화망 스타일의 서킷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가 아니라, 데이터의 패킷을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이론과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었다. 여러 네트워크 기술과 구조를 포관해야 했기 때문에 오픈 아키텍처를 통해서 미래로의 확장성을 우선 확보해야 했다. 다시 말해 어느 한쪽이 송신하고 다른 한쪽이 수신하는 역할을 분담식의 시나리오보다는, 각 네트워크의 말단이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각자의 소통이 가능한 P2P 시나리오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했다. 오픈 아키텍.. 2020. 5. 22.
해커와 인터넷의 시작 유닉스와 UC 버클리, 그리고 MIT에서 일했던 리처드 스톨만, 그리고 리눅스로 이어지는 역사 속에서 공통적으로 연상되는 것은 해커이다. 페이스북 CEO인 마크 주커버그가 기업 공개 때 주주들에게 남겼던 편지가 있는데, 그 내용 중 가장 중요시되었던 것이 '해커 정신'이다. 마크 주커버그가 언급한 해커 정신이란 백 마디 말과 계획을 세우기보다 바로 실행해보고 혁신하는 문화이다. 실패하더라도 빨리 실패하고 거기에서 필요한 교훈을 얻어야 더 나은 서비스와 경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해커라는 용어는 스튜어트 브랜드가 에 쓴 '스페이스 워' 기고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스튜어트 브랜드는 매사에 세밀하게 계획을 세워 실행하는 사람이 '플래너'라면, 이와 반대로 즐거움에 이끌려 임의적으로 새로운 .. 2020.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