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8

무선 선로의 종류와 특징 무선 선로는 지구의 대기 등에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 유도체로, 물리적 회선을 이용하지 않는다. 전자기파를 이용할 때는 신호의 주파수와 대역폭이 전기적 특징을 결정짓는 요인이 된다. 주파수의 범위와 방향성에 따라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로 분류한다. 마이크로파는 방향성이 있다. 반면, 라디오 파는 방향성이 없다. 마이크로파는 위성 마이크로파와 지상 마이크로파로 다시 나눈다. 마이크로파는 방향성이 있어 강으로 분리된 지역에 유선선로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과 높은 비용이 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디오 파는 방향성이 없어 주로 방송용으로 이용한다. 무선 선로를 사용하는 통신은 일기(날씨)에 따라 감쇄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전송 영역 등이 중첩되고, 주파수 영역을 할당할 때는 엄격하.. 2020. 6. 17.
유선선로의 종류와 특징 1. 꼬임선 꼬임선은 구리선 두 가닥을 서로 균일하게 꼬아서 여러 다발로 묶어 보호요 피복선을 입힌 케이블이다. 인접한 쌍과의 전자기 간섭 현상을 줄이려고 전선을 꼬아서 사용한다. 피복된 도선 여러 쌍(2~2,400쌍)을 하나로 묶어 선(케이블) 하나를 만든다. 단거리에는 직경이 0.4mm(0.015인치) 정도인 선을, 장거리에는 1.6mm(0.56인치) 정도인 선을 사용한다. 꼬임선은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꼬임선의 종류는 전자기 간섭을 차단하는 피복 방법에 따라 분류한다. 전화선에 사용하는 비차폐 꼬임선과 FTP, UTP보다 성능이 우수한 차폐 꼬임선으로 구분한다. 2.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은 내부에 있는 단일 구리선과 외부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도체와 외부 도체 사이에는 절.. 2020. 6. 16.
신호변환 장치의 종류 대표적인 신호변환 장치는 아날로그 전화선을 이용하는 모뎀과 디지털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디지털 서비스 유닛이다. 모뎀은 전송회선이 아날로그인 경우에 사용하고, DSU는 디지털 회선인 경우에 사용한다. 1. 모뎀 모뎀은 MOdulator와 DEModulator의 합성어이다. 단말 장치에서 발생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변조)하여 통신회선으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통신회선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통신 제어 장치나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복조)하는 역할도 한다. 즉, 디지털 데이터인 0이나 1에 해당하는 특정 주파수가 있는 정현파 형 전송 신호를 생성(변조)하거나, 정현파 형 전송 신호를 0이나 1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복조)한다. 모뎀은 설치 장소, 전송속.. 2020. 6. 15.
단말 장치와 정보 전송 기술 1. 단말 장치의 개념 단말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키보드, 모니터, 프린터 등 컴퓨터와 연결되는 모든 주변 장치를 말한다. 단말기 또는 단말, 터미널이라고도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자체를 단말 장치로 사용하기도 한다. 2. 단말 장치의 궁성과 기능 단말 장치는 네 가지로 구성된다. 첫 번째, 입출력 제어부의 기능은 외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며, 입출력할 때 필요한 제어를 수행한다. 두 번째, 송수신 제어부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전송 제어 문자를 검사하여 단말 장치가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오류 제어부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한다. 네 번째, 공통 제어부는 .. 2020.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