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8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과거와 미래 1. 인류사회가 변화하는 과정 인류 역사의 기원은 정확히 구분하기 쉬운 일이 아니지만, 많은 학자들은 인류 역사의 변천 과정에서 농업혁명, 산업혁명, 정보혁명, 유비쿼터스 혁명의 네 가지 혁명이 일어났다고 얘기한다. 첫 번째 토지 가치 증대의 농업혁명은 기원전 약 1,000년경 일어나 기존의 수렵 사회를 농업사회로 전환시켰다. 이후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급격한 공업화로 기술과 자본 가치의 증대가 일어나는 산업혁명이 일어났는데, 이를 계기로 인류 문명은 농업 경제에서 산업 경제 체제로 한 단계 발전하게 되었다. 산업혁명은 프랑스, 미국, 독일에 이어 19세기 말 일본, 러시아에서도 일어났으며 20세기에는 인도, 아르헨티나, 우리나라 등도 공업화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산업 혁명은 1980.. 2020. 6. 9.
IBM과 리눅스 IBM은 IT업계의 거대 기업이다. 파란색 로고를 빗대어 빅 블루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대. 하드웨어 사업을 통해 전 세계를 장악하고, 메인 프레임용 시장과 PC 하드웨어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와 관련한 모든 시장에서 승승장구하던 기업이다. IBM은 이전에는 크게 중요하지 않게 생각했던 운영체제를 마이크로소프트에 아웃 소싱한 이후 컴팩과 같은 IBM 클론 컴퓨터 벤터들의 ㅅ어장과 표준 운영체제 시장을 마이크로소프트에게 넘겨주면서 급격히 영향력이 줄어들게 된다. IBM이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항하기 위해 사력을 다했던 OS/2가 시장에서 실패하면서 IBM은 사실상 운영체제 시장에서 출수하고 만다. IBM에게 있어 인터넷이라는 존재는 새로운 기회이자 동시에 위기를 주는 것이기도 했다. 운영체제에서는 실패했지만 그.. 2020. 6. 8.
자바와 자바스크립트 썬 마이크로시스템스는 오늘날 가장 많은 개발자들이 이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자바를 처음 만들어낸 회사이다. 자바는 제임스 고슬링이 1991년 시작한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젝트이다. 제임스 고슬링은 원래 셋탑박스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었는데, 어느 순간부터인가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한 번만 코딩을 하면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환경과 언어가 필요해지겠구나 생각해서 개발한 것이다. 처음에는 고슬링의 사무실에서 보이는 참나무에서 영감을 받아 'Oak'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미 상표 등록이 된 이름이었다. 어느 날 동료들과 커피를 마시다가 커피 산지 이름인 '자바'를 따서 이름을 짓게 되었다. 제임스 고슬링은 '한 번의 제작으로 여러 곳에서 사용하기'라는 개념을 중시했다. 그래서 어떤 하드웨어나 운영체제.. 2020. 6. 6.
익스플로러의 대중화 팀 버너스 리가 최초로 웹 서버와 브라우저 개발과 관련하여 애를 쓴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로 인터넷을 통한 웹이 세계적인 인기를 끈 것은 모자이크가 발표된 다음부터이다. 마크 앤드리센이 주축이 된 NCSA팀에서 1994년 10월에 모자이크를 발표한 뒤 웹은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며 위세를 떨쳤고, 1995년 마크 앤드리센과 짐 클라크가 설립한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스에서 내비게이터를 발표하면서 점차 표면화되었다. 내비게이터는 비상업적인 용도로 쓰는 경우라면 무료로 배포되었고, 순식간에 모든 경쟁자들을 압도하면서 웹의 황제 자리에 올랐다. 1995년 웹은 글자 그대로 대폭발을 일으키면서 PC통신 중심의 네트워크 세상을 완전히 장악해나가기 시작했다. 내비게이터는 웹의 상징이었고, 내비게이터를 이용해서 인터넷의.. 2020.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