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정보통신 기술 혁명과 사물인터넷

by 앤드뉴스타 2020. 6. 13.

1. 정보통신 기술 혁명의 4단계

 

정보통신 기술 혁명은 컴퓨팅 혁명, 네트워크 혁명, 전지 공간 혁명, 제3공간 혁명의 4단계로 나뉜다. 이 중에서 제3공간은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더 나아간 사물인터넷 사회를 의미한다. 이러한 혁명의 단계를 앞으로도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2. 사물인터넷 구현을 통한 지식 기반 사회

미래 지식 기반 사회는 사물인터넷의 구현으로 더욱 현실화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이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현재 헬스케어,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다양한 산업 분야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사물 인터넷 구현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은 인간의 감성을 기반으로 한 오감 인식 센서(스마트 센서), 인식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HCI 및 빅데이터 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 외에도 인문학, 의료공학, 디자인, 심리학 등 타 분야와의 융합도 매우 중요하다.

 

3. 사물 인터넷의 개념

 

사물인터넷은 기존의 인터넷(유선통신 기반)이나 모바일 인터넷(무선 통신 기반) 보다 진화된 개념이다. 모든 사물, 기기가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사물 또는 사람이 사용하는 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다.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이다. 기존의 유비쿼터스나 사물통신과 비슷하지만, 사물통신은 통신장비와 사람과의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고, 사물인터넷은 사물끼리도 통신을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사물 인터넷은 사물통신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4. 사물인터넷의 구현 기술

 

사물인터넷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기술,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등이 있다. 사물인터넷은 이 외에도 센서 기반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빅데이터 기술,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 로봇 기술 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독자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즉,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 RFID, 2차원 바코드, NFC, 클라우드, 빅데이터, 커넥트 카,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공장, GPS, LBS, GIS 등 여러 가지 정보통신 기술들이 발전해야 사물인터넷 사회로 도달할 수 있다.

 

5. 사물인터넷의 발전 방향

 

사물인터넷의 발전 방향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다. 여기에서는 인간과 ICT 융합(인간의 사물인터넷화), 사물과 ICT의 융합(사물의 사물인터넷화, 공간과 ICT의 융합(공간의 사물인터넷화)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6. 인간과 ICT의 융합

 

인간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인간의 사물인터넷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로봇 분야를 들 수 있다. 인간과 유사한 기능을 갖춘 휴머노이드는 가장 고난도의 지능형 로봇이다. 휴머노이드는 인간의 외모뿐만 아니라 인식 기능, 운동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로봇 기술이 총체적으로 집약되어 있다. 1997년 일본의 혼다는 세계 최초로 계단을 오르내리는 이족보행 로봇인 P2를 발표하였고, P2를 발전시켜 지금의 아시모를 만들었다. 2004년 대한민국 카이스트는 휴보를 개발하였다. 휴보는 키 137cm, 몸무게 57kg에 대화가 가능하며 30여 개의 얼굴 근육을 움직여 표정을 지을 수 있다. 또한 66개의 관절을 갖고 있어 보행과 계단 오르기가 가능하다.

 

7. 사물과 ICT의 융합

사물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사물의 인터넷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시계라는 사물에 정보통신 기술과 패션을 융합하면 스마트 시계가 된다. 스마트 시계를 웨어러블 컴퓨터의 대표적인 예이다. 사물의 인터넷화가 이루어지면 과거에 직접 얼굴을 마주 보고 생활하던 문화(대면문화)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소통하는 문화(원격통신문화)로 전환된다. 이러한 문화는 신조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를 활용하는 네티즌,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생활하는 유티즌이 그 예이다.

 

8. 공간과 ICT의 융합

 

공간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을 통해 공간의 사물인터넷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등이 있다. 정보통신 기술가 융합한 미래의 도시는 '스마트 ICT'를 기반으로 물리적인 도시 공간과 전자적인 도시 공간을 연계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가 구현되는 공간(편리한 도시, 건강한 도시, 안전한 도시, 쾌적한 도시)을 만들어 간다. 기존의 도시보다 정보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인구, 교통, 업무의 분산이나 적절한 배치가 가능하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할 수 있다. 향후 사물인터넷 기술이 도시와 생태에 접목되면 환경 ㅇ친화적인 새로운 차원의 도시 개념으로 발전할 것이다.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호변환 장치의 종류  (0) 2020.06.15
단말 장치와 정보 전송 기술  (0) 2020.06.14
정보통신의 발전 과정  (0) 2020.06.12
정보통신 시스템과 역할  (0) 2020.06.11
정보통신의 정의와 기술  (0) 2020.06.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