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기능 면에서 정보 전송 시스템(데이터 전송계)과 정보 처리 시스템(데이터 처리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보 전송 시스템은 데이터의 이동을 담당하는데, 단말장치, 정보 전송회선(신호 변환 장치, 통신회선), 통신 제어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 보관하는데, 컴퓨터(중앙 처리 장치,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와 주변 기기로 구성된다.
정보통신은 데이터 통신, 음성 통신, 이미지 통신, 영상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의 형태가 있다. 데이터 통신은 숫자나 문자를 디지털 형태로 전송하는 통신이고, 음성통신은 전화망을 이용해 음성을 전달하는 통신이다. 이미지 통신은 정지 영상을 전달하는 통신이고, 영상 통신은 동영상을 전달하는 통신이다. 멀티미디어 통신은 복합된 여러 매체를 전달하는 통신이다.
2.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통신의 활용과 역할
정보화 사회는 디지털로 정보를 처리하는 복합매체라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양방향 동시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방 분산형 정보 관리 시스템이다. 소프트웨어 기술 중심의 개발을 하고 광역 네트워크 정보를 처리한다.
시장에서의 정보화 사회는 중소기업 서비스 산업을 하며, 다품종 소량생산, 생산 과정이 자율화되어 있다. 제품의 고부가 가치화의 특징을 가지고 지역 분산형 시장에서 개인을 중심으로 활동한다.
컴퓨터는 일상생활에서 아주 편리한 도구로써 발전하고 있다. 이것은 경제 수준과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룩한 결과이다. 이것은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다. 일찍이 미국의 사회학자 다니엘 벨이 후기 산업사회로 표현하고,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제3의 물결이라고 말한 정보화 사회가 마침내 도래한 것이다.
인간에게는 더 편리하고 윤택한 삶을 추구하는 욕구가 있다. 정보를 획득하여 무언가를 알려주는 욕구도 포함된다고 봤을 때 과거에는 그 일을 가장 잘 아는 사람에게 직접 듣거나 라디오, 텔레비전 등 전파매체를 이용하거나 신문, 잡지, 책 등 인쇄매체와 학교 같은 지식을 전달하는 곳을 직접 찾아가서 필요한 정보를 얻었다. 그러나 이렇게 정보를 얻는 방법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어 많이 불편하다.
정보화 사회의 원동력을 첨단 기술의 총아인 컴퓨터와 그것을 매체로 하는 정보통신에서 찾을 수 있다는 데 아무도 이의를 제기하진 않을 것이다. 사무식의 업무를 향상하는 자동화와 이윤을 추구하려는 모든 경제 활동, 국가 간의 무역을 포함한 상호 관계에서 정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개념이 되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정보의 위력은 점점 더 높아질 것이며 사회 여러 분야에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이런 변화의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말 장치와 정보 전송 기술 (0) | 2020.06.14 |
---|---|
정보통신 기술 혁명과 사물인터넷 (0) | 2020.06.13 |
정보통신의 발전 과정 (0) | 2020.06.12 |
정보통신의 정의와 기술 (0) | 2020.06.10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과거와 미래 (0) | 2020.06.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