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역사24 월드와이드웹의 시대 월드와이드 웹 시대로의 전환은 인터넷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했다. 월드와이드 웹 이전의 인터넷은 전화를 중심으로 하는 통신망의 연장선에서 고려되었던 것이다. 실제로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는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이메일이나 파일을 공유하는 서비스,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자원을 공유하는 것과 같이 기본적으로 '통신과 공유'라는 패러다임에서 대부분 진행되었다. 그에 비해서 월드와이드 웹을 처음으로 탄생시킨 물리학자 그룹들의 관심사는 과학 논문에 있었다. 특히 SLAC에서 가지고 있었던 30만 개가 넘는 과학 문서들은 거대한 콘텐츠 서버로서 일종의 킬러 서비스가 되었고, 여기에 매료된 전 세계의 물리학자들은 이를 쉽게 브라우 징 하면서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에 목말라 있었다. 그리고 여기에 딱 들.. 2020. 6. 2. 세계 최초의 웹페이지 팀 버너스 리는 브라우저 편집기를 통해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편집하는 창조적인 공간으로서 웹이 만들어지길 바랬다. 처음 만들어진 웹사이트에는 하이퍼텍스트가 무엇이고 어떻게 웹페이지를 만드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 그리고 FTP를 통해 소스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까지 걸려 있었다. 이 웹사이트는 웹과 관련된 표준을 만들고 운영하는 W3C에 의해 보존이 되고 있다. 물리학자들은 CERN 내부에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연구논문이나 문서를 서로 쉽게 브라우징 할 수 있는 용도로 웹 기술을 사용하였다. 그러던 것을 처음 미국으로 가져와 사용한 곳이 스탠퍼드대학 선형가속기센터였다. SLAC에는 특히 30만 개가 넘는 물리학 관련 문서들을 보관한 데이터베이스가 있었는데, 이는 물리학자들에게는 보물창고와도 같.. 2020. 6. 1.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인터넷에 담겨 있는 정보의 양과, 사용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들여 원하는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은 모두 하이퍼텍스트 기능 떄문이다. 한 화면에 쓰여 있는 글을 읽다가 막히는 단어가 나오면, 다시 이 단어에 대해 찾아볼 수 있도록 마우스를 한 번만 클릭하면 되기 때문이다. 책이 하나의 텍스트라면, 컴퓨터 속의 인터넷 세계는 수많은 텍스트들의 공존, 즉 하이퍼텍스트의 세계이다. 하이퍼텍스트의 기능으로 이루어진 인터넷은 편리함과 다양한 지식 습득 모두를 가능하게 한다. 하이퍼텍스트는 테드 넬슨이 1963년 제너두라는 프로젝스에 대해 프레젠테잉션을 하면서 처음으로 언급한 개념이다. 그는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라는 용어를 통해 연결이 있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활용하는 모델을 설명하였다. 근느 196.. 2020. 5. 26. BBS와 PC통신 인터넷은 국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연구자들의 네트워크와 각 대학의 학술 목적을 공유를 위하여 확산되었다. 그런데 일부 일반인들이 대학의 계정을 얻기 시작하였고, 동시에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에 참여한 영리 기업들에 의해 전화 접속을 이용한 서버를 호스팅 하는 서비스들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PC 보급이 늘어나자 과거에는 대학과 연구소에서나 볼 수 있었던 컴퓨터를 집에 갖추는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다. PC의 보급은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 등의 업무용 소프트웨어, 베이식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 그리고 PC게임 등의 활성화와 같이 초기에는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보급과 활용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전화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모뎀이라는 주변기기가 개발되고 그 가격 또한 저렴해지자.. 2020. 5. 2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