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24

네트워크 접속 장치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인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서브 네트워크끼리 상호 연결하는 장치로 IS라고도 한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는 허브,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 디지털 서비스 장치, 채널 서비스 장치 등이 있으며,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한다. 다음 그림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 OSI 7 계층의 관계를 나타낸다. 리피터는 물리 계층,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 게이트웨이는 응용 계층과 관계가 있다. 1. 허브 LAN에서 허브는 한가운데에 있는 제어 장치를 중심으로, DTE가 있는 지점 간에 트리 구조로 연결하는 장비이다. LAN끼리 연결하는 데도 사용한다. 허브는 수신한 신호를 정확히 재생하여 다른 쪼긍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초기에 나온 허브를 더미.. 2020. 7. 1.
정보통신망 1. 정보통신망의 개념 정보통신망은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정보(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장비(컴퓨터 시스템, 단말기, 다중화기 등)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하나의 회선에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거나 몇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며,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2. 정보통신망의 필요성 전송 거리가 아주 길고, 노드 수에 제한에 없을 때는 최적의 정보통신망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토신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려면 하나의 쇠선에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거나 몇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3. 정보통신망의 구성요소 단말 장치는 데이터 전송계 맨 아래쪽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하며, 사용자는 이 .. 2020. 6. 29.
프로토콜 표준화 1. 표준화의 필요성 통신 초기에는 프로토콜의 호환을 고려하지 않아 다른 기종 간의 정보를 교환하고 통신하기 어렵고,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또 하드웨어 자원 등을 공유하기도 어려웠다. 프로토콜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신을 시작한 1960년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주로 IBM이 제정한 프로토콜인 BSC와 SDLC를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컴퓨터와 통신기기를 만드는 회사마다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혼란이 발생하였고, 1976년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에서 여러 프로토콜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정할 것을 권고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OSI 참조 모델을 발표하였다. 지금은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프로토콜의 근간인 TCP/IP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앞으로 상호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의 표준화는 더욱.. 2020. 6. 28.
정보 전송의 다중화와 오류 제어 다중화란 전송로 하나에 데이터 신호 여러 개를 중복시켜 고속 신호 하나를 만들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로의 이용 효율이 매우 높다. 이때, 사용하는 장비를 다중화기 또는 다중화 장치라고 한다. 다중화 장치는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하나의 채널(하나의 물리적 회선)을 통해 직렬로 전송하는 장치(또는 시스템)이며, 정적인(단순히 여러 개의 신호를 묶는다는 의미) 공동 이용 장치이다. 다중화 방식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분할 다중화, 코드 분할 다중화가 있다. 그리고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는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와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가 있다.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주파수 분할 다중화는 하나의 전송로 대역폭을 작은 대역폭(채널) 여러 개로 분할하여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2020.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