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인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서브 네트워크끼리 상호 연결하는 장치로 IS라고도 한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는 허브,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게이트웨이, 디지털 서비스 장치, 채널 서비스 장치 등이 있으며, 프로토콜에 따라 각각 다르게 사용한다. 다음 그림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 OSI 7 계층의 관계를 나타낸다. 리피터는 물리 계층, 브리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 게이트웨이는 응용 계층과 관계가 있다.
1. 허브
LAN에서 허브는 한가운데에 있는 제어 장치를 중심으로, DTE가 있는 지점 간에 트리 구조로 연결하는 장비이다. LAN끼리 연결하는 데도 사용한다. 허브는 수신한 신호를 정확히 재생하여 다른 쪼긍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초기에 나온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하는데, 리피터처럼 단지 신호를 증폭하고 재생하여 각 노드를 집중화시켜주는 역할을 했다. 이는 전체 대역폭을 각 노드가 분할하여 사용하므로 분할 수가 어느 정도 증가하면 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SNMP를 이용해 망을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인 지능형 허브로 발전하였다. 지능형 허브는 브리지와 라우팅 기능도 하여 동일한 지역 내에서 다른 LAN을 구성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트래픽 병목현상을 제거한 스위칭 허브이다.
2. 리피터
리피터는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쇄되는 신호를 재생시키는 장비로, 서로 분리된 동일한 LAN에서 네트워크의 거리를 연장하거나 접속한 세그먼트 사이를 연결하여 세그먼트의 수를 증가시켜 준다. OSI 7 계층 중 1 계층인 물리 계층에 해당한다. 통신망 구조가 동일한 LAN을 연결할 때만 사용하는데, 접속하는 리피터는 4개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3. 브리지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는 장비로, OSI 7 계층 중 2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한다.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연결하며 혼잡한 네트워크상에서 수송량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리피터는 동일한 유형의 LAN끼리만 연결할 수 있지만 브리지는 서로 다른 유형의 LAN끼리도 연결할 수 있다. 브리지는 OSI 7 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하여 LAN 프로토콜 중에서 MAC 계층을 지원하는 반면, 리피터는 OSI 7 계층의 물리 계층에 해당하므로 단순히 증폭하고 재생시키는 기능만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브리지는 구조가 다른 LAN 세그먼트끼리도 연결할 ㅅ 있어 하나의 LAN 세그먼트에 제한된 최대 길이, 괴대 연결 노드 수 등 물리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주소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면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모드로 전송해야 하는데, 이것은 전체 망에 심한 오버헤드를 줄 수 있어 노드가 50개 이하인 소규모 망에서만 주로 사용한다. 현재는 라우터가 브리지의 기능을 대신하므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4. 라우터
내부 네트워크는 사용하는 컴퓨터 기농이나 운영체제, 프로토콜 등을 확실히 알 수 있어 네트워크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는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컴퓨터 기종 등의 정보를 알 수 없어 최적화가 힘들다. 이때, 임의의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는 장비가 바로 라우터읻.ㅏ 라우터는 구조가 다른 망끼리도 연결할 수 있어 근거리 통신망과 광역 통신망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