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패킷 교환의 종류

by 앤드뉴스타 2020. 7. 4.

패킷 교환 방식에는 가상 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

 

1. 가상 회선 방식

 

가상 회선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호를 요청하면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전용 통신로인 가상 회선을 만들어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간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일단 가상 회선이 만들어지면 해당 호를 종료하기 전까지 선택한 경로를 따라 패킷이 전송되며, 전송이 끝난 후 가상 회선은 종료된다.

가상 회선 방식은 연결 지향 서비스라고도 한다. 데이터를 전송하면 반드시 목적지에 도착시키기 때문이다.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가상 회선을 먼저 만들고, 해당 호를 종료할 때까지는 선택한 경로만을 따라 패킷을 순서대로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을 다시 순서화할 필요가 없다. 이 과정은 물리적 회선을 연결하는 것과 비슷하다.

전송할 때 먼저 경로를 만들고 전송이 끝나면 경로를 해제한다. 그러나 회선 교환 방식은 데이터의 전송 여부와 상관없이 경로를 만든다. 또 가상 회선 방식은 여리 노드가 동시에 가상 회선을 가질 수 있지만, 회선 교환 방식은 여러 노드가 동시에 설정된 경로를 가질 수 없다.

 

2. 데이터그램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은 일련의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송신 노드와 수신 노드 간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현재 패킷 전송에 부하가 생겼는지에 따라 패킷의 경로를 동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 방식은 목적지 노드에 도착하는 패킷을 순서대로 배열하는 조립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각 패킷이 스위치를 거치며 매번 최선의 경로를 선택하므로 패킷의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가상 회선을 먼저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비연결 지향 서비스에 해당한다. 각 패킷마다 목적지로 가기 위한 경로 배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전송된 데이터가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아예 도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먼저 전송되더라도 최적의 경로를 찾지 못하면 나중에 전송된 데이터보다 늦게 도착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노드에서 패킷을 재 순서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데이터그램 방식은 망의 혼잡 상황 또는 장애 상황에 따라 적절한 경로 설정이 가능하므로 융통성이 크다. 메시지가 짧은 경우에 유리하며, 대역폭 설정을 융통성 있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송속도 및 코드 변환이 가능하다. 각 패킷에는 목적지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계층별 프로토콜  (0) 2020.07.13
인터넷의 정의  (0) 2020.07.07
무선 LAN  (0) 2020.07.02
네트워크 접속 장치  (0) 2020.07.01
정보통신망  (0) 2020.06.29

댓글